여야가 줄다리기 하고 있는 연금개혁 (2025년 2월 25일)
팩트
-정부와 국민의힘, 더불어민주당은 24일 국민연금 개편안을 논의하기 위한 비공개 실무급 회의를 개최. 회의에는 여야 정책위의장인 국민의힘 김상훈·민주당 진성준 의원, 민주당 소속 박주민 보건복지위원장, 복지위 양당 간사인 국민의힘 김미애·민주당 강선우 의원,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이 참석함
-이날 회의는 핵심 쟁점인 소득대체율에서 이견이 좁혀지지 않아 합의에는 이르지 못함
-여야는 보험료율(내는 돈)을 13%로 올리는 것에는 공감대를 이뤘지만, 소득대체율(받는 돈)을 두고는 국민의힘은 42∼43%, 민주당은 44∼45%를 주장
'자동조정장치 도입'도 핵심 쟁점으로 부상
-여야는 또 자동조정장치를 두고 견해차를 보였음
-지난 20일 국회에서 열린 여·야·정 국정협의회에서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자동조정장치 제도에 ‘발동 시 국회 승인’이란 추가 조건을 붙이는 타협안을 제시했고, 이재명 민주당 대표는 “그런 조건이 더해진다면 수용할 수 있다”고 답변한 것으로 알려짐
-그러나 진성준 정책위의장은 이날 회의 뒤 연 기자간담회에서 “(자동조정장치를) 수용을 결정한 건 아니다. 논의해야 할 사안”이라고 말함
-진 의장은 “연금과 직접적 이해관계를 가진 노동계를 비롯한 시민사회가 자동조정장치를 도입하는 데 대단히 신중해야 한다는 반대 의견을 당에 전달해왔다”고 설명
-국민의힘은 자동조정장치 도입을 전제로 소득대체율을 44%까지 유연하게 논의할 수 있다는 입장
-국민의힘 권성동 원내대표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우리 당은 자동조정장치가 들어가야 (연금개혁) 협상이 가능하다”고 강조
연금 자동조정장치
-자동조정장치는 가입자 수 증감률과 기대여명 증감률 등 여러 요인을 고려한 산식에 따라 매년 연금 지급액을 조정하는 장치
-현재 국민연금은 물가 변동에 따라서만 수급액을 조정하고 있는데 자동조정장치가 도입될 경우 가입자 수와 기대여명 등도 액수 결정에 반영되는 것임
-연금 소득의 불안정성을 높이게 됨으로써 연금 성숙도가 떨어지는 우리나라 실정에선 도입에 신중해야 한다는 의견이 있음
민주당 처리 강행 시사
-민주당은 27일 본회의에서 국민연금 모수개편(보험료율과 소득대체율 조정)안을 단독 처리할 가능성을 시사
-진 의장은 MBC 라디오에 출연해 “(이 대표가 국정협의회에서)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에서 연금개혁 법안을 처리할 수밖에 없다고 말씀하셨다”며 “(소득대체율) 1%포인트 정도 차이라면 단독 처리할 수도 있는 게 아닌가 생각한다”고 말했다. 민주당은 국민연금 구조개편안은 모수개편안 처리 이후에 논의한다는 입장
-이에 대해 김상훈 국민의힘 정책위원장은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정부도 구태여 정부안을 고집하진 않겠다는 입장”이라며 “조만간 실무협의회를 다시 개최해서 여야 합의안을 도출하는 게 좋겠다”고 말함
논조
▣한겨레
연금개혁, 정략적 계산으로 시간 끌 여유가 없다
신문은 "우리는 1998년 이후 국민연금 보험료를 한차례도 못 올렸다. 연금개혁이 늦춰질수록 미래 세대의 부담이 커지는 구조"라며 "이렇게 된 데는 여당의 책임이 크다. 그동안에도 구조개혁을 병행해야 한다고 해서 시간만 허비했는데, 이번엔 그중에서도 가장 신중히 검토해야 할 ‘자동조정장치 도입’안을 강하게 주장하고 있다"고 비판. 신문은 "민주당의 애매한 협상 태도도 아쉬운 대목"이라며 "(이재명 민주당 대표는 국정협의회에서 ‘소득대체율 44% 수용’을 전제로 자동조정장치 도입에 긍정적 의사를 내비쳤다고 하는데) 시민사회 반발이 커지자, 수습에 나선 것이다. 이런 태도가 협상에 도움이 될 리 없다"고 비판. 신문은 "연금개혁은 전 국민의 노후 소득과 관련된 중차대한 사안"이라며 "여야 모두 정치 일정을 염두에 둔 정략적 접근에만 갇혀선 곤란하다. 연금개혁을 또 다음 정권으로 미뤄선 안 된다"고 강조.
▣국민
연금개혁 2월을 마지노선으로 여기고 합의 서두르라
신문은 "기금 적자는 하루에 885억원, 연간 32조원씩 불어나고 있다. 국회예산정책처는 2057년에 국민연금이 완전히 소진될 것으로 전망했다"며 "그럼에도 여야는 신경전을 거듭하고 있다"고 비판.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에 따르면 소득대체율이 43%나 44%일 때 기금 고갈 시점은 둘 다 2064년"이라며 "여야가 고집하는 수치가 국민연금 재정 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얘기"라고 지적. 신문은 "다음 달 중 헌법재판소의 대통령 탄핵 심판 결과가 나올 전망"이라며 "인용이 되든 기각이 되든 정치적 혼란이나 조기 대선 열풍으로 개혁안 처리는 더욱 어려워진다"고 경고. 신문은 "여야는 어떻게든 27일 국회 본회의에서 ‘자동조정장치 도입+43%(혹은 44%)’의 모수개혁안을 처리하기 바란다"며 "합의가 안되면 야당의 단독 처리도 필요하다는 생각"이라고 강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