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발 R의 공포 관련 (2025년 3월 12일)
팩트
-10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나스닥 종합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4% 하락한 1만7468.33에 마감
-하락률은 인플레이션 충격이 최고조에 이르렀던 2022년 9월13일(-5.16%) 이후 최대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55.64포인트(-2.70%) 떨어진 5614.56에 거래를 마침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도 890.01포인트(-2.08%) 하락
-이날 대규모 하락으로 미국 주식 시장 시가총액은 지난달 고점 대비 4조달러(약 5832조원)가 증발
-엔비디아‧애플‧테슬라 등 7개 대형 기술주 ‘매그니피센트 7(M7)’의 시가총액은 1100조원 이상이 날아감
-특히 테슬라 주가가 15.4% 급락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 이후의 상승분을 모두 까먹음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인 바이낸스에서 비트코인 개당 가격은 이날 한때 7만6600달러까지 하락하면서 지난해 11월 10일 이후 최저치를 기록
-상승세를 탔던 달러 가치도 하락함.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보여주는 달러인덱스는 10일 103.8까지 떨어짐
아시아시장
-한국 코스피는 11일 전 거래일보다 32.79(1.28%) 하락한 2547.6에 거래를 마침
-코스닥도 4.32(0.6%) 하락한 721.5를 기록
-대만 가권(자취안)지수는 1.73% 하락해 지난해 9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
-일본 닛케이225는 전 거래일보다 0.64% 하락
-다만 미국 대체 투자처로 꼽히는 중국의 상하이종합지수는 0.41% 상승 마감함
전망
-JP모건은 올해 미 경제가 경기침체에 빠질 확률을 30%에서 40%로 상향 조정함
-골드만삭스는 12개월 내 경기침체 확률을 15%에서 20%로 올리면서 올해 미국 성장률 전망치를 2.4%에서 1.7%로 대폭 내림
-미국의 고관세 정책은 결국 자국의 소비자들에게 전가돼 물가상승과 경기침체를 불러올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지적
원인
-미국 언론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인터뷰가 경기침체의 공포를 부추겼다고 지적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주말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올해 경기침체를 예상하느냐’는 질문에 “우리가 하는 일은 크기 때문에 과도기가 있다”고 답변. 이는 경기침체를 기정사실화한 대통령의 발언으로 받아들여지며 주가가 폭락했다는 것
-미국의 보수 경제학자 스티븐 무어는 9일 폭스뉴스와 인터뷰에서 “현재 미국의 경제는 매우 불안정하다”며 “트럼프 대통령이 지금 관세 문제를 부각한 것은 잘못 판단한 것”이라고 지적
-주요국의 보복관세 정책 단행도 증시에 불안요인으로 작용
-이날 캐나다 차기 총리로 선출된 마크 카니 자유당 대표는 미국에 보복관세로 대응할 것이라고 선언
-중국도 대미국 보복관세를 단행할 것이라는 점도 관세정책에 따른 경기침체 공포를 확대시킴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0이 미국 경제 곳곳에 경기둔화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며 이런 우려를 불식시키려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마구잡이(willy-nilly) 행태의 관세정책을 보류해야 한다고 주장
논조
▣경향
트럼프발 ‘R 공포’ 커지는데 탄핵 정국에 갇힌 한국 경제
신문은 "미국의 관세장벽과 경기침체는 수출로 먹고사는 한국에 치명적"이라며 "이런 누란의 위기에 정작 미국·중국과 소통하고 국가의 통상·산업 전략을 마련해야 하는 정부와 정치권은 탄핵 정국에 갇혀 옴짝달싹도 못하고 있으니 우려가 크다"고 걱정.
신문은 "그러잖아도 한국 경제는 내수 위축으로 빈사 상태"라며 "경제와 민생을 살리려면 무엇보다 정치가 안정돼야 한다. ‘트럼프 리스크’는 어떻게 못해도 ‘윤석열 리스크’는 해소할 수 있다"고 주장. 신문은 "헌법재판소는 대통령 윤석열을 하루라도 빨리 파면하고, 국회와 여야는 머리를 맞대고 ‘내우외환’ 경제위기에 장·단기 대응책을 세워야 한다"고 요구.
▣세계
美 경기침체 공포, 우리 경제 전이 차단해야
신문은 "문제는 미국발 경기침체 공포로 글로벌 시장에서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팽배해지면 우리 자본시장에 대한 투자 유입이 저해된다는 데 있다"며 "당국은 우리 금융시장에 미국발 경기침체 공포가 전이되지 않도록 시장 안정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고 강조.
"우리 경제도 내수와 수출이 동반 부진한 데다 고용시장에도 한파가 몰아치면서 경기침체의 공포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신세"라며 "여야는 그제 3차 국정협의회에서 실무협의회 구성에 뜻을 모았을 뿐 더는 진척이 없으니 답답한 노릇"이라고 비판.
신문은 "정부는 조만간 한·미 실무협의체를 열어 관세조치를 논의하고 조선·에너지 협력강화 방안 협의에 나설 예정"이라며 "이미 백악관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대응하기 위해 현대차와 LG전자, 삼성전자가 대미 투자 확대를 고려하고 있다는 내용의 언론 보도를 취합해 ‘성과’로 홍보하는 등 압박에 나섰다. 이에 맞서 정부는 국익을 지키면서 양국이 ‘윈윈’할 수 있는 정교한 전략으로 대응해야 할 것"이라고 요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