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최대 사교육비 29조원 (2025년 3월 14일)
팩트
-통계청이 13일 발표한 ‘2024년 초중고사교육비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초중고 학생에게 지출된 사교육비 총액은 29조2000억원
-이는 전년보다 2조1000억원(7.7%) 증가한 것으로 2021년부터 4년째 역대 최고를 기록한 것
-지난해 초중고 전체 학생 수는 513만 명으로 1년 사이 8만 명이 감소했는데도 사교육비는 증가함
-증가폭은 중학교가 9.5%로 가장 컸고 이어 고등학교(7.9%), 초등학교(6.5%) 순이었음
사교육 참여율
-사교육 참여율은 전년보다 1.5%포인트 상승한 80.0%로, 역대 최고치
-학교급별로 보면 초등학교 사교육 참여율이 1.7%포인트 상승한 87.7%, 중학교는 2.7%포인트 오른 78.0%, 고등학교는 0.9%포인트 증가한 67.3%로 나타남
-학년별 참여율을 보면 초등학교 2학년이 90.4%로 가장 높았고 중학교 1학년(80.0%), 고등학교 1학년(70.2%)이 뒤를 이었음
사교육비 지출액
-지난해 월평균 사교육비 지출액은 1인당 47만4000원으로 전년보다 9.3% 증가
-초등학교는 44만2000원(11.1%↑), 중학교는 49만 원(9.0%↑), 고등학교 52만 원(5.8%↑)으로, 모든 학교급에서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가 증가함
-사교육 참여 학생으로 좁혀보면 1인당 사교육비는 59만2000원으로 7.2% 늘었음
-초등학교는 50만4000원(9.0%↑), 중학교 62만8000원(5.3%↑), 고등학교 77만2000원(4.4%↑)
-이번 통계에서는 늘봄학교·방과후학교 비용, EBS 교재비, 어학연수비 등은 제외했는데 이 비용까지 포함하면 가계의 체감 사교육비 부담은 더 늘어남
사교육 양극화
-지난해 월평균 소득이 300만원 미만인 가계의 월평균 사교육비는 20만5000원으로 전년보다 12.3% 상승
-월 소득이 800만원 이상인 가계의 월 사교육비는 67만6000원으로 0.8% 늘어남
-지난해 서울에서 사교육에 참여한 고3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106만7000원에 달했지만, 전남은 47만6000원으로 반 토막 수준이었음
원인
-윤석열 정부들어 내놓은 사교육비 경감 대책이 효과를 보지 못한 것라는 비판이 나오고 있음
-윤석열 정부는 킬러문항 폐지 추진과 함께 입시 불안정성을 확대하는 의대 증원이나 무전공전형 확대 등을 급하게 도입했다는 지적
-올해 고1에 적용되는 고교학점제도 사교육 수요를 자극했고, 중학교 때부터 고입 대비에 매달려야 하는 자율형사립고(자사고)·외고·국제고 존치 정책은 유지함
-교육부는 이날 교육발전특구, 인공지능(AI) 디지털교과서 추진 등을 사교육비 경감 수단으로 제시함
-그러나 교육발전특구는 특구 내 고교가 자사고 역할을 해 입시경쟁을 촉발한다는 우려가 꾸준히 제기되고 있음
-구본창 사교육걱정없는세상 정책대안연구소장은 “입시 정책이 수시로 바뀌어 불확실성이 커지기 때문에 사교육 의존도가 커지고 있다”며 “장기적인 정책 로드맵을 제시해 예측 가능성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
-교육부는 가계 대부분이 자식을 1명만 키우면서 ‘아낌없이 공부할 수 있게 해주자’ ‘우리 애도 뒤처질 수 없다’며 동조하는 경향이 짙어진 것을 원인 중의 하나로 분석
-공교육에 대한 불신이 심화하고, 사교육 업계의 마케팅 기법이 갈수록 고도화하고 있는 것도 원인으로 꼽히고 있음
논조
▣동아
요란했던 ‘사교육 카르텔’ 전쟁… 학부모 부담만 늘었다
신문은 "윤석열 정부는 국정과제로 ‘사교육 경감 및 학습 격차 완화’를 내세웠고 물가상승률 이내로 사교육비 증가율을 억제하겠다고 약속했다"며 "하지만 한 번도 약속을 지키지 못했다"고 지적. "지난해 사교육비 증가의 주요 원인은 의대 증원이었다"며 "의대 열풍이 초등 단계까지 확대되면서 ‘초등의대반’이 생기는 등 선행학습 수요가 폭증한 것"이라고 주장. 신문은 "초중고교생 사교육 참여율이 80%에 달하고 영유아 시기에도 사교육 의존이 심화되는 것은 공교육에 대한 기대가 무너진 현실을 그대로 보여준다"며 학령인구 감소에도 매년 교육교부금은 늘고 국가교육위원회까지 만들어 중장기 계획을 세우는데 왜 공교육은 계속 퇴보하고 사교육비 부담만 늘어나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고 비판.
▣서울
사교육비 29조원 최대… 속수무책 더 커진 교육 불평등
신문은 "입시 정책에서의 혼선과 급변침이 사교육을 늘렸다는 지적이 나온다"며 "의대 정원 확대도 사교육 팽창의 직접적인 원인으로 꼽힌다"고 비판. "늘봄학교 시행 원년이었는데도 초등 사교육이 늘어난 대목은 더욱 뼈아프다"며 "초등생 사교육 참여율은 전년보다 1.7% 포인트 더 늘어난 반면 늘봄학교 및 방과후학교 참여율은 2.3% 포인트 더 감소했다"고 지적. 신문은 "저출산을 심화시키는 결정적 요인이 치솟은 사교육비 부담"이라며 "사교육 문제를 풀지 않고서는 국가의 미래를 말할 수 없다"고 강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