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 토지거래허가제 해제 관련
(2025년 3월 18일)
팩트
-서울시는 2월 12일 강남구 삼성·대치·청담동과 송파구 잠실동의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을 해제함
-서울시가 해제후 이지역 아파트 291곳에 대한 30일간의 거래를 분석한 결과, 전용면적 84㎡(국민평형) 평균 매매가격은 해제 전 30일보다 평균 2.7% 상승. 전 평형 기준으로는 3.7% 올랐음
-이들 지역 전체 아파트 거래량은 해제 전 107건에서 해제 후 184건으로 77건 증가함
-이 지역에서의 갭투자 의심 주택 구매 건수도 지난해 12월에 비해 두 배 이상 늘어난 것으로 나타남
-차규근 조국혁신당 정책위의장이 17일 국토교통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강남 3구 갭투자 의심 주택구매 건수는 61건(약 1118억원)이었으나, 올해 2월은 134건(약 2943억원)으로 두 배 이상 늘어남
-강남 뿐만 아니라 마포·용산·성동구 등 주변 지역의 집값 상승으로 확산되는 양상도 보이고 있음
-집값이 뛰자 지난 1월엔 감소세를 보였던 가계대출도 지난달 4조3000억원 증가세로 전환됨
-이는 지난해 말부터 기준금리 인하가 시작되고 올해 초 금융권 대출 문턱이 낮아진 가운데,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가 집값 상승 기폭제 구실을 한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음

-오세훈 서울시장은 17일 토지거래허가구역 규제가 해제되면서 송파구 잠실동, 강남구 삼성·대치·청담동 아파트 집값이 오른 것과 관련해 “특단의 조치가 필요한지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밝힘
-오 시장은 10일에도 강남 집값이 들썩이는 양상을 보이자 “다시 규제하는 것도 검토할 것”이라고 말한 바 있음
-금융당국은 17일 가계부채 점검회의를 갖고 강남 3구(서초·강남·송파구)와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을 중심으로 주댁담보대출 등 가계대출 신청을 면밀히 지켜보기로 함

비판
-권대중 서강대 교수(부동산학과)는 “토허제를 너무 성급하게 풀었다”며 “지난 1월부터 대출 완화 등으로 강남을 중심으로 가격이 오르기 시작했는데 토허제가 해제되며 강남 집값 상승에 기름을 부은 꼴이 됐다”고 지적
-오 시장이 조기 대선 가능성이 커진 상황에서 대선 표심을 확보하기 위한 카드라는 비판도 나오고 있음

토지거래허가제
-토지거래허가제는 과도한 부동산 가격 상승 등을 막기 위해 개발 예정지와 투기가 우려되는 지역 거래를 제한하는 제도
-일정 규모 이상 주택·상가·토지 거래 시 관할 구청장으로부터 사전 허가를 받아야 하고, 주택은 2년간 실거주 목적인 매매만 허용됨
-지난달 해제된 강남·송파구 아파트는 2020년 6월 정부의 ‘주택시장 안정을 위한 관리방안’에 따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되었음
논조
▣중앙
집값 불안 불쏘시개 된 서울시 토지거래허가 해제

신문은 "최근 서울 집값 상승의 ‘트리거’로는 토지거래허가제(토허제) 해제가 지목되고 있다"며 "서울시가 애초 토허제를 해제한 것 자체가 부적절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고 지적. "역대 정부가 실패를 거듭했을 만큼 부동산은 민감한 문제"라며 "집값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금리가 3년여 만에 인하로 방향을 트는 국면에서 토허제를 해제한 것은 정책 둔감성의 극치가 아닐 수 없다"고 비판. 신문은 "가뜩이나 집값이 들썩이는 시점에 관계기관과의 종합적인 조율도 없이 토허제를 해제한 것을 두고 대권주자로 거론되는 오 시장이 지역 주민에게 환심을 사려는 정치적 목적이 있는 게 아니냐는 뒷말까지 돌고 있다"며 "서울시는 이제 문제점이 드러난 만큼 토허제 재지정을 앞당기는 게 마땅하다"고 주장.

▣한겨레
서울시 강남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성급했다

신문은 "오세훈 서울시장이 올해 1월 ‘규제 풀어 민생살리기 대토론회’에서 '현재 부동산 가격이 하향 안정화되는 추세라는 전문가들의 의견이 있다'며 해제 뜻을 밝혔다"며 "(토지거래허가제는 언젠가는 해제해야 하지만) 지정 만기일(올해 6월)을 4개월 앞두고 금리·대출 등 여러 측면에서 집값이 오를 가능성이 높은 시점에 해제한 건 성급한 결정이었다"고 지적. 신문은 "후폭풍은 집값 과열에만 그치지 않는다. 주택담보대출 증가로 이미 심각한 가계부채 문제를 더 악화시킬 수 있다. 또 한은의 추가 기준금리 인하를 지연시켜 가계의 이자 부담을 늘리고, 소비 위축으로 경제성장에도 부정적 영향을 끼친다"며 "문제가 더 악화하기 전에 잘못된 결정은 빨리 되돌리는 게 옳다"고 주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