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세대 불리한 연금 모수조정 반발
(2025년 3월 24일)
팩트
-국민의힘 김용태·우재준·김재섭 의원과 민주당 전용기·이소영·장철민, 개혁신당 천하람·이주영 의원 등 여야 청년 정치인 8명은 23일 기자회견을 갖고 18년만에 국회를 통과한 연금 모수개혁안에 반대를 표명
-이들은 ‘더 나은 연금개혁을 요구하는 국회의원’ 결성을 알리며 각 당 지도부에 ▶조속한 구조개혁 ▶연금 기금에 국가 재정 투입 ▶추가 개혁을 위한 국회 연금 특위에 청년 의원 참여 확대 등을 촉구
-이들은 “이번 모수조정으로 강화된 혜택은 기성세대부터 누리면서 추가되는 부담은 또다시 후세대의 몫”이라며 “세대 간 불균형은 더 커졌고 지속가능성은 강화하지도 못했다”고 지적했다. 또 “연금에 대한 청년들의 불신을 해소하고 신뢰를 회복해야 한다”고 강조
-이들은 모두 지난 20일 본회의 표결에서 반대 혹은 기권표를 던짐
거부권 행사 요구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와 유승민 전 국민의힘 의워,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은 거부권 행사를 요구
-한동훈 전 대표는 23일 “개정안대로면 바로 연금을 더 받는 86세대(1980년대 학번, 1960년대생)는 꿀을 빨고, 올라간 돈을 수십 년 동안 내야 연금을 받는 청년 세대는 독박을 쓰는 것”이라며 “(개정안에 대해) 거부권 행사 후 다시 논의해야 한다”고 밝힘
-유승민 전 의원은 “국회를 통과한 ‘13%-43%’는 땜질하기로 담합한 것일 뿐”이라며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은 당연히 거부권을 행사해야 한다”고 요구
-국민의힘 안철수 의원도 “‘연금개악법’에 거부권을 행사한 후 자동조정장치 도입 등을 포함해 다시 개정해야 한다”고 주장
-개혁신당 대선 후보인 이준석 의원은 “젊은 세대의 미래를 팔아 기성세대의 표를 사는 합의안”이라고 비판
국민의힘 지도부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23일 국회 기자간담회에서 “2029년부터 연금 기금 총액이 감소하게 돼 있기에 모수 개혁은 불가피했다”고 설명
-김상훈 정책위의장은 “(모수 개혁 안은) 한발씩 양보하고 얻은 성과로, 다시 논의할 수는 없다”고 말함
비판
-정치권에서는 모수개혁 합의를 미루면 연금재정 고갈로 청년 세대에게 더 큰 피해가 돌아갈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합의를 백지화하라는 주장에 대해선 “무책임하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음
-전문가들은 여야 합의를 존중하되 국회 연금특위에서 청년층의 불신을 해소하기 위한 연금 구조개혁에 속도를 내야 한다고 지적
연금 모수개혁
-여야는 20일 국민연금법 모수개혁 개정안을 국회 본회의를 통과시킴
-개정안은 현행 9%인 보험료율(내는 돈)을 13%로 올리고, 40%인 소득대체율(받는 돈)을 43%로 인상하는 모수개혁이 핵심임
-소득대체율은 1988년 국민연금 도입 당시 70%였지만 1998년 1차 개혁에서 60%, 2007년 2차 개혁에서 50%로 조정됨
-이후 2028년까지 단계적으로 40%까지 낮아지도록 설계돼 올해 기준 41.5%였으나 이를 43%로 상향 조정한 것
-보험료율은 2026년부터 매년 0.5%포인트씩 8년간 단계적으로 인상함
-군 복무와 출산 크레디트(연금 가입 기간 인정)도 확대함. 군 복무의 경우 인정 기간이 현행 6개월에서 최대 12개월로 늘어나고, 둘째 자녀부터 인정해주던 출산 크레디트는 첫째 자녀까지 인정 대상을 확대함
-저소득 지역가입자에 대한 보험료 지원도 늘림
-미래 세대가 안정적으로 연금을 지급받을 수 있도록 국민연금법에 국가의 지급 보장을 명문화함
-여야는 국민연금모수개혁안에 합의하면서 구조개혁 논의는 연금개혁특위를 통해 진행하기로 합의함
논조
▣동아
그동안 뭐 하다 이제 와 연금개혁 거부권 주장하는 韓·安·劉
신문은 "여야 협상 땐 별다른 입장을 내지 않던 여권 주자들이 18년 만에 어렵게 국회를 통과한 개혁안을 아예 원점으로 되돌리자고 뒤늦게 앞다퉈 주장하는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고 비판. "이번에 모수개혁에 실패했다면 하루 885억 원씩 늘어나는 연금 부채를 감당하지 못해 당장 4년 뒤부터 연금 기금 총액 자체가 줄어들 판이었다"며 "그간 쌓아놓았던 기금이 허물어지기 전에 내는 돈과 받는 돈 모두 선진국과 격차를 좁히는 모수개혁을 통해 급한 불부터 끄는 것이 불가피했다"고 지적. 신문은 "이제 여야가 구조개혁과 함께 인구 구조 변화 등을 반영해 수급액 상승 폭을 조정하는 자동조정장치 도입 여부 등 청년층의 우려를 불식할 방안을 국회 연금특위에서 하루빨리 찾는 것이 순리"라며 "뒤늦게 모수개혁에 대한 청년층의 반발에 올라타려는 행태는 무책임한 표심 잡기로 보일 뿐"이라고 비판.
▣한국
청년 불리한 연금 모수조정, 구조개혁으로 해결해야
신문은 "하루 885억 원씩 기금 적자가 쌓여 온 국민연금 개혁을 위해 일단 정치권이 모수조정부터 이뤄낸 점은 반길 일이지만, 세대별로 혜택과 부담의 격차가 섬세하게 조율되지 못한 것은 뒤늦게라도 인정하고 보완돼야 한다"고 지적. "조만간 구성될 국회 국민연금 특위에서 우선적으로 각 세대가 짊어질 부담을 공평히 분담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숙의에 착수하고, 부족했던 청년층 의견 수렴을 위해 젊은 의원들의 특위 참여를 대거 늘려야 할 것"이라며 "장기적으로는 국민연금 외 기초연금 공무원연금 개인연금까지 함께 손질해 중층적 연금 체계를 합리적으로 구조화하는 구조개혁 논의가 따라야 한다"고 제안. 신문은 "다만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등 일부 정치인들의 주장대로 정부가 연금법 개정에 대해 재의요구권을 행사하는 것은 과도한 요구"라며 "18년 만에 정치권이 힘들게 내디딘 국민연금 개혁의 첫발을 수포로 되돌려서는 곤란하다"고 강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