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지거래허가제 확대 재시행 (2025년 3월 25일)
팩트
-서울지역의 토지거래허가제가 24일 0시를 기해 확대 시행됨
-지정 기간은 9월 30일까지 약 6개월
-오세훈 서울시장은 2월12일 강남구 삼성동, 대치동, 청담동과 송파구 잠실동 등 일부 지역의 토지거래허가구역을 해제했고, 이후 부동산 시장의 변동성이 커지자 3월19일에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 용산구의 전체 아파트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확대 재지정함

내용
-이번에 확대된 대상 지역은 서울 강남·서초·송파·용산구로, 이 지역 아파트 단지 총 40여만 가구가 영향권에 들어옴. 총 110.65㎢의 면적임
-압구정·여의도·목동·성수동 등 기존 토지거래허가구역을 포함해 확대 지정된 지역은 서울시 전체 면적(605.24㎢)의 27%(163.96㎢)를 차지함
-토지거래허가구역이 서울 특정 구역이나 동이 아닌 구 단위로 광범위하게 지정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
-정부와 서울시는 상황에 따라 기간 연장을 적극 검토하고, 마포·성동·강동 등 주변 지역으로 ‘풍선효과’가 나타나 집값이 오르면 토지거래허가구역을 추가 지정한다는 방침
-시장에서는 강남3구와 용산구의 토지거래허가구역이 경우에 따라선 6개월 이후에도 풀리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이들 지역은 면적 6㎡(주거지역 기준) 이상 아파트를 거래할 때는 구청장 허가를 받아야 하며, 2년 이상 직접 거주할 실수요자만 매수가 허용됨
-또 세대원 전원이 무주택자이거나 기존 주택을 1년 이내에 전부 팔아야 해 사실상 무주택자만 아파트를 살 수 있음
-이로써 강남 3구와 용산구는 기존 투기과열지구, 조정대상지역에 더해 토지거래허가구역까지 ‘3중 규제’를 받게 됨
-위반하면 계약 무효와 벌금형 혹은 징역형, 과태료 부과 등의 처벌을 받게 됨

금융권의 대출규제 강화
-금융당국은 24일 토허제 지정 후 서울 등 투기 수요를 억누르기 위한 추가 조처가 필요한지 여부를 검토하기 위해 25일 주요 가계부채를 담당하는 시중은행 부·팀장 등 실무진을 소집해 점검할 예정
-주요 시중은행들은 다주택자의 서울 지역 주택구매 목적의 신규대출 및 갭투자(전세 낀 매매)에 이용되는 조건부 전세자금대출 취급을 중단했거나 중단할 예정
-하나은행은 27일부터 다주택자에 서울 지역 주택구매 목적 주담대를 신규로 내주지 않기로 함. 서울 지역 조건부 전세자금대출 신규 취급도 막을 예정
-우리은행은 28일부터 1주택 이상 보유자를 대상으로 서울 강남·서초·송파구와 용산구 소재 주택 구매 목적 신규 주담대를 중단
-NH농협은행은 21일부터 갭투자 억제를 위해 서울 지역 조건부 전세대 취급을 중단
-KB국민·신한은행 등은 지난해부터 다주택자 신규 주담대나 조건부 전세대출을 내주지 않고 있음
-일각에서는 이번 대출규제 강화로 단순 시세차익을 노린 갭투자자뿐만 아니라 주거 이전을 계획했던 잠재적 실수요자들까지 피해를 볼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음
논조
▣동아
토허제 헛발질에 대출은 냉탕온탕… 실수요자들만 피해

신문은 "서울 집값을 들쑤신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가 한 달 만에 번복되고 오히려 규제가 강화되면서 시중은행의 대출 기조도 덩달아 급선회하고 있다"며 "오락가락 정책 탓에 정부 당국을 믿고 거래에 나섰던 애꿎은 실수요자들만 피해를 보게 됐다"고 지적.
"현 정부 들어 부동산·가계부채 정책을 손바닥 뒤집듯 바꿔 시장을 혼란에 빠뜨리는 일이 유독 자주 반복되고 있다"며 "집값 안정과 경기 대응, 가계부채 관리와 내수 활성화 사이에서 뚜렷한 방향 없이 정책 기조가 널을 뛰었다"고 비판. 신문은 "수시로 벌집 쑤시듯 건드리니 정책은 신뢰를 잃었고, 시장은 내성이 생겨 어떤 정책도 먹히지 않는 상황이 됐다"고 우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