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한국의 무역장벽 적시 (2025년 4월 2일)
팩트
-미 무역대표부(USTR)는 31일(현지시간) 2025 국가별 무역평가보고서(NTE)를 홈페이지에 공개
-이는 매년 대통령과 의회에 제출하는 보고서로 미 수출업자가 직면한 무역장벽과 이를 줄이기 위한 정부 노력을 담고 있음
-한국과 관련해서는 기술·위생, 공공 조달, 지식재산권, 서비스업, 전자상거래 및 디지털, 투자, 기타(자동차·제약) 등 7가지 분야를 무역장벽으로 지적함
-이는 트럼프의 본격적인 관세전쟁을 앞두고 한국에 소고기 수입 월령 제한부터 디지털 망사용료, 온라인 플랫폼법, 수입차 배출가스 규제, 약값 정책 등을 사실상 ‘비관세 무역장벽’으로 지목한 것으로 해석됨
한국관련 내용
-이번 보고서에서 특히 눈길을 끄는 것은 지난해와는 달리 한국의 국방 조달에서 무역장벽이 있다고 주장한 부분
-보고서는 한국 정부 조달 분야 무역장벽과 관련해 “한국 정부는 방위산업 상쇄거래 프로그램을 통해 외국 방산 기술보다 국내 기술과 제품을 우선시하는 정책을 추진해왔다”며 “계약 가치가 1000만 달러(약 147억원)를 초과할 경우 외국 계약자에게 절충교역 의무가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
-보고서는 또 2008년 한국은 미국산 쇠고기를 완전히 개방하기로 합의했지만 ‘과도기적 조치’라며 30개월 미만 쇠고기만 수입을 허용하고 있으며 이는 16년 동안 유지되고 있다고 기술
-연령대와 상관없이 소고기 패티, 육포, 소시지 등 가공된 쇠고기 제품의 수입을 한국이 금지하는 것도 미국 관련 업계가 제기하는 우려 사항으로 꼽음
-보고서는 “미국 자동차 제조사의 한국 자동차 시장 진출 확대는 여전히 미국의 주요 우선순위”라고 밝힘. 그러면서 미국 정부는 한국의 대기환경보전법에 따른 배출 관련 부품 규제에 문제를 제기해왔다며 자동차 업계가 관련 규정의 “투명성 결여”에 대해 우려를 표명해왔다고 소개
-제약·의료기기 산업의 경우 “한국의 가격 책정, 환급 정책의 투명성이 부족하며 이해관계자의 실질적인 의견 수렴 기회가 부족하다”고 지적
-보고서는 넷플릭스 같은 외국 콘텐츠 사업자(CP)가 한국의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ISP)에 지불하는 ‘네트워크 망 사용료’ 문제도 제기
-보고서는 “미국 콘텐츠 제공업체가 지불하는 요금이 한국의 경쟁 업체에 이익이 될 수 있고, 한국의 3대 ISP 독과점 업체(SK브로드밴드·KT·LG유플러스)를 더욱 강화해 반(反)경쟁적일 수 있다”며 “미국 정부는 지난해 수차례 이 문제를 한국에 제기했다”고 밝힘
-한국이 추진 중인 온라인 플랫폼 법안도 “미 대기업은 적용되지만 다수 한국 기업들은 제외된다”며 문제를 제기함
논조
▣중앙
불리하면 다 비관세 장벽…‘자국 우선주의’ 미국의 얼굴
신문은 "조금이라도 불리하면 무조건 무역장벽으로 몰아가는 미국의 자국 우선주의는 자제돼야 한다"며 "다만, 한국의 화학물질 관리 관련 법령 등 국내 기업조차 과잉 규제라고 지적하는 부분은 규제 완화 차원이나 미국과의 양자협상을 위해 선제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 "국내외 불확실성이 커지는 어려운 시기"라며 "한 대행은 어제 상법 개정안에 거부권도 행사했다. 기업 경쟁력을 떨어뜨릴 수 있다는 재계의 우려를 고려한 불가피한 조치였다"고 주장. 신문은 "한 대행의 말처럼 임박한 상호관세 충격을 줄이려면 정부와 기업, 국민이 원팀으로 민관 협력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며 "4대 그룹을 비롯한 우리 기업도 과감한 도전과 혁신의 정신을 보여주기 바란다"고 요구
▣한국
세계가 다 하는 절충교역 문제 삼아 한국 압박한 미국
신문은 "미국이 이(국방 절충교역 프로그램)를 문제 삼은 건 처음"이라며 "보고서는 외국인의 원전 소유 제한과 국가 안보 핵심 기술에 대한 외국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 사용 불허도 비관세 무역장벽으로 열거했다. 모두 부당하다"고 지적. "이(국방 절충교역)는 국가 안보와 직결된 사안의 특성상 당연한 조치"라며 "다른 나라들도 마찬가지다. 심지어 일부 국가는 무기 구입 절충교역 비중이 100%에 가깝다. 미국도 국산 원자재가 65% 이상 사용된 경우에만 가격 할증 적용에서 제외하고 있지 않나"라고 반문. 신문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가 임박한 가운데 미국의 무역 정책을 총괄하는 USTR가 이런 보고서를 낸 건 향후 협상에서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기 위한 압박으로 풀이된다"며 "정부는 곧바로 미국과 실무 협상 및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이행위원회 등을 통한 협의에 적극 나서기 바란다"고 요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