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따른 싱크홀 사고
(2025년 4월 14일)
팩트
-4월13일 오전 부산 사상구 학장동 사상~하단선 도시철도 공사 현장 인근 횡단보도에 가로 5m, 세로 3m, 깊이 5m가량의 싱크홀이 생김. 사상구 도시철도 공사 현장에서는 지난해 9월 트럭 2대를 삼킨 싱크홀을 비롯해 최근 7개월 사이 크고 작은 땅 꺼짐이 10건 가량 발생함
-4월13일 오전 서울 마포구 애오개역 인근에서 지름 약 40cm, 깊이 1.3m 규모의 싱크홀이 나타남
-4월11일에는 경기 광명시 일직동 신안산선 복선전철 공사 현장의 지하터널과 상부도로가 붕괴되는 사고가 발생. 이 사고로 굴착기 기사 1명은 지하에 고립됐다가 13시간 만에 구조됐지만 시공사 소속 작업자 1명은 13일 사흘째 실종 상태임
-또 4월2일 오후 5시 7분경 서울 강동구 길동 신명초등학교 사거리 인근에서 폭 20㎝ 깊이 50㎝ 규모의 싱크홀 발생함
-3월24일 강동구 명일동에서도 가로 18m, 세로 20m, 깊이 30m가량의 대형 싱크홀 사고가 발생. 이 사고로 실종된 오토바이 운전자가 17시간 만에 발견 되는 등 2014년 이후 4번째 사망자가 나옴
-지난해 8월29일에는 서대문구 연희동 성산로에서 발생한 가로 6m, 세로 4m, 깊이 2.5m 싱크홀에 소형 스포츠실용차(SUV)가 빠져 70대 여성이 숨짐
-이밖에 안성 고속도로 교각 붕괴사고(4월7일), 안성시 서운면 산평리 서울세종고속도로 천안~안성 구간 9공구 청룡천교 건설 현장 거더 붕괴사고(2월25일) 등 최근 대형 안전사고가 빈발하고 있음

△통계
-국토교통부 자료에 따르면 2014~2024년 전국에서 모두 3188건의 땅꺼짐이 발생함
-광역단체 기준으로 보면 경기(458), 강원(272), 서울(233), 광주(188), 부산(174) 등
-피해 건수는 모두 60건, 부상자는 77명이었음

△서울시
-서울시는 대규모 지하 굴착공사장과 주변에 지표투과레이더(GPR) 탐사를 진행하는 등 특별 대책에 나선다고 13일 밝힘
-시는 우선 ▲지하철 9호선 4단계 건설공사 1∼3공구 4.1km ▲동북선 도시철도 민간투자사업 건설공사 1∼4공구 13.4km ▲영동대로 지하공간 복합개발공사 1.0km 구간 등을 탐사하기로 함
-시는 이후 지난해 말 8개 자치구에서 선정한 50개 우선 점검지역 45km 구간에 GPR 탐사도 이달 말까지 진행하고 분석까지 마칠 계획이라고 밝힘

△서울시 ‘지반침하 안전지도’ 비공개
-서울시는 지난해 8월 연희동 싱크홀 사고 이후 ‘지반침하 안전지도’를 작성했지만 정작 집값 영향 우려 등으로 비공개
-투명사회를 위한 정보공개센터와 공공운수노조 등은 4월2일 지반침하 안전지도 공개를 요구했지만 서울시는 비공개 결정을 한 것
-시는 해당 지도가 싱크홀 위험도 점검을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진 지도도 아니고, 국가공간정보기본법을 적용받는 지도라서 공개가 불가능하다는 입장
-박주민 민주당 새서울특위 위원장은 “영국·독일도 지질정보와 지하매설물 지도를 공개하고 있고, 행정안전부는 침수위험지도와 노후 건물, 범죄 주의 구역 등 생활안전지도를 공개하고 있다”며 “서울시가 공개 못할 이유가 없다”고 주장
논조
▣경향
신안산선 공사장 붕괴사고, ‘안전 불감증’의 전형

신문은 "이번 사고는 붕괴 17시간 전 이상 징후가 확인됐는데도 막지 못했다는 점에서 명백한 인재(人災)이자 ‘안전불감증’이 초래한 사고"라며 "안전사고를 막기 위한 작업이 제대로 된 안전 대책 없이 이뤄진 것은 아닌지 의문"이라고 지적. "사고 구간은 2년 전에도 “지반이 불량하다”고 감사원이 감사에서 지적한 곳"이라며 "감사원의 지적에 따른 보강공사가 제대로 실시됐더라면 사고를 막을 수 있었을 것"이라고 주장. 신문은 "서울시는 대규모 지하 굴착 공사장과 주변에 대한 지표투과레이더(GPR) 탐사를 실시한다고 밝혔지만 ‘사후약방문’에 불과하다"며 "모든 사고에는 사전 경고나 전조 증상이 있다. 이를 소홀히 다루지 않고 철저히 점검하는 근본적인 안전 관리 시스템부터 확립하는 게 순서"라고 요구.